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산응용기계제도
- 퓨전360
- 기계설계
- CAD
- 3D 렌더링
- fusion360
- 오토캐드
- 기계설계산업기사
- 끼워맞춤
- 기계설계산업기사실기
- 피젯스피너
- 3d설계
- 3d
- 메카피아
- 3d모델링
- 오토데스크
- 3D프린터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인벤터실기
- TPC
- TPC메카트로닉스
- 3D프린팅
- 인벤터
- KS규격
- 일반기계기사실기
- 기계제도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실기
- MECHAPIA
- 메카피젯
- 솔리드웍스
- Today
- 648
- Total
- 2,126,171
목록끼워맞춤 (15)
메카피아 노구라닷컴
표준적인 끼워맞춤 공차끼워맞춤 항목구멍축고정밀도의 회전, 위치결정H7g6∅3mm를 초과하는 구멍과 축의 압입H7p6∅3mm 이하의 구멍과 축의 압입H7r6윤활 저널 베어링 등H8f7헐거운 가동 끼워맞춤H9e9특히 헐거운 가동 끼워맞춤H10d9 정밀도 등급은 구멍의 경우 7등급, 축의 경우는 6등급이 정밀 기계가공의 표준이며, 이것을 초과하는 정밀도는 원통 연삭, 원통 래핑 등의 특수가공이 필요하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반대로 정밀도를 낮게 하면 기계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이런 경우는 반드시 끼워맞춤 공차를 따를 필요는 없으며 정밀도의 상한과 하한 만을 지정한다.H7/g6, H7/p6, H7/r6는 끼워맞춤 공차를 지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한해서는 끼워맞춤 공차와 상한치수, 하한치수를 병기하는 것..
전산응용기계제도(CAD)는 기계제도법을 이해하고 KS규격의 적용과 올바른 투상법, 치수기입법, 표면거칠기선정, 기하공차 선정, 치수 공차 및 끼워맞춤 선정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 학습하고 2D도면을 해독하여 3D모델링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본인이 저작한 본 도서는 올 컬러로 편집구성하였으며, 616쪽으로 구성된 묵직한 도서입니다.실무에 나가서도 참고 활용할 수 있으며, 기계제도법의 핵심적인 내용을 단기간 내에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도서입니다.시중 온라인 서점이나 대형 서점에서 확인 가능하며 대학교나 직업학교 등에서도 교재로 활용하고 있으며 초판을 거쳐 [개정2판]까지 출간된 도서입니다. ※ 개정2판의 특징 : 개정판에서 낡은 자료를 빼고 가격도 소폭 낮춤 ■ 국가기술자격증 전산응용 기계제..
묻힘키의 종류 및 끼워맞춤 공차 도서출판 메카피아 [메카설계편람] 중 발췌Copyrightⓒ 2017 Mechapia Co., Ltd. All rights reserved.
현장실무자를 위한 기계설계핸드북 엔지니어북스~본서는 [현장실무 활용서 시리즈 제 9편]으로 각종 기계설계 분야의 실무를 수행함에 있어 꼭 필요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한 실용 핸드북으로 설계 뿐만 아니라 각종 계산 및 공식, 재료표, 제도, 견적 작업 등에 필요한 유용한 기술 데이터를 손쉽게 찾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편람으로 현장 실무 기술자들에 꼭 필요한 필수 지침서로 자주 사용되는 최신의 KS/ISO 규격을 수록하였습니다. 무려 944페이지 분량의 기계설계 필수 핸드북입니다. 『기계설계 핸드북』은 각종 기계설계 분야의 실무를 수행함에 있어 꼭 필요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한 실용 핸드북이다. 설계 뿐만 아니라 각종 계산 및 공식, 재료표, 제도, 견적 작업 등에 필요..
베어링의 끼워맞춤에 대해서 많은 설계자들이 고민을 하는 경우를 보았다. 물론 본인도 그렇고..^^자격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포털에 문의를 많이 한 내용들이 있다. 간략하게 조사하고 공부한 것을 옮겨본다. 구름베어링의 끼워맞춤을 이해하고 적용하려면 먼저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나 기계에서 어떤 하중을 받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시험 과제도면에 나오는 동력전달장치 등의 경우 일체 하우징 구멍에서 하중의 종류 중 외륜 회전하중을 받는 보통하중 또는 중하중인 경우 N7을 적용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주로 볼베어링에 적용하며, 가벼운하중(경하중) 또는 변동하중을 받는 경우는 M7을 적용해주면 된다. 또한 외륜정지하중의 조건에서 모든 종류의 하중에 적용할 수 있는 하우징구멍의 ..
끼워맞춤의 종류 1. 헐거운 끼워맞춤: 구멍이 축보다 클 경우 2. 중간 끼워맞춤: 구멍과 축이 같을 경우 3. 억지 끼워맞춤: 축이 구멍보다 클 경우 [구멍기준 끼워맞춤] H7을 기준으로 하는 축의 끼워맞춤이 가장 많이 사용됨. 기준 구멍 축의 공차역 클래스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H6 g5 h5 js5 k5 m5 f6 g6 h6 js6 k6 m6 n6* p6* H7 f6 g6 h6 js6 k6 m6 n6 p6 r6* s6 t6 u6 x6 e9 f7 h7 js7 H8 f7 h7 e8 f8 h8 d9 e9 H9 d8 e8 h8 c9 d9 e9 h9 H10 b9 c9 d9 [축기준 끼워맞춤] 기준 축 구멍의 공차역 클래스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h5 H6 JS6 ..
보통공차가 길이 치수와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라면 끼워맞춤(fit)은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공차 방식(system)이다.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관계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만 끼워맞춤에서의 구멍(hole)은 구멍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안쪽 형체 모두를 의미하고, 축(shaft)은 축과 같은 기능을 가진 바깥쪽 형체 모두를 의미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끼워맞춤은 다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구멍 또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를 결정하는 요소 IT 등급: 공차를 결정하는 요소 도면에 끼워맞춤을 지시할 때에는 기준 치수 다음에 이 두 가지 요소를 함께 표시해야 한다. Ø16H7: Ø16은 기준 치수, H는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 7은 IT 등급이다..
표 L3-1은 ISO에서 권장하는 일반적인 끼워맞춤(ISO First Preference)이다. 끼워맞춤 상태 끼워맞춤 설명 구멍 기준 축 기준 헐거운 끼워맞춤 H11-c11 C11-h11 (loose running fits) 외부 구조재의 폭넓은 상용 공차나 허용차를 위한 끼워맞춤 H9-d9 D9-h9 (free running fits) 온도 변화가 큰 곳, 고속 구동 부분 또는 큰 압력이 작용하는 저널에 좋다. 정밀도가 요구되는 곳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H8-f7 F8-h7 (close running fits) 정밀 기계의 구동 부분과 적정 속도에서 정확한 위치결정을 요하는 부분을 위한 끼워맞춤 H7-g6 G7-h6 (sliding fits) 자유롭게 구동하는 부분이 아닌, 자유롭게 이동하고 회전하며..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륜에 대한 끼워맞춤 [JIS B 1514-1] 베어링등급 내륜회전하중 또는 방향부정하중 내륜정지하중 축의 공차역 클래스 0급, 6급 r6 p6 n6 m6 m5 k6 k5 js6 js5 h5 h6 h5 g6 g5 f6 5급 - - - m5 k4 js4 h4 h5 - - 끼워맞춤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헐거운끼워맞춤 레이디얼 베어링의 외륜에 대한 끼워맞춤 [JIS B 1514-1] 베어링등급 외륜정지하중 방향부정하중 또는 외륜회전하중 구멍의 공차역 클래스 0급, 6급 G7 H7 H6 JS7 JS6 - JS7 JS6 K7 K6 M7 M6 N7 N6 P7 5급 - H5 JS5 K5 - K5 M5 - - 끼워맞춤 헐거운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억지끼워맞춤 [비고] 내륜회전하중 : 베어링의 내륜에..
기준치수의 구분(mm) 구멍의 공차역 클래스 JS6~X7 ~초과 이하 JS6 JS7 K6 K7 M6 M7 N6 N7 P6 P7 R7 S7 T7 U7 X7 - 3 ±3 ±5 0 -6 0 -10 -2 -8 -2 -12 -4 -10 -4 -14 -6 -12 -6 -16 -10 -20 -14 -24 - -18 -28 -20 -30 3 6 ±4 ±6 +2 -6 +3 -9 -1 -9 0 -12 -5 -13 -4 -16 -9 -17 -8 -20 -11 -23 -15 -27 - -19 -31 -24 -36 6 10 ±4.5 ±7 +2 -7 +5 -10 -3 -12 0 -15 -7 -16 -4 -19 -12 -21 -9 -24 -13 -28 -17 -32 - -22 -37 -28 -43 10 14 ±5.5 ±9 +2 -..
JIS B 0401-1986より抜粋単位:μm 基準寸法の区分 (mm) B C D E F G H JS K M N P R S T を超え 以下 B10 C9 D8 E7 E8 F7 G7 H6 H7 H8 JS7 K7 M7 N7 P7 R7 S7 T7 - 3 +180 +140 +85 +60 +34 +20 +24 +14 +28 +14 +16 +6 +12 +2 +6 0 +10 0 +14 0 ±5 0 -10 -2 -12 -4 -14 -6 -16 -10 -20 -14 -24 - 3 6 +188 +140 +100 +70 +48 +30 +32 +20 +38 +20 +22 +10 +16 +4 +8 0 +12 0 +18 0 ±6 +3 -9 0 -12 -4 -16 -8 -20 -11 -23 -15 -27 - 6 10 +208 +150 ..
JIS B 0401-1986より抜粋単位:μm 基準寸法の区分 (mm) c d e f g h js k m n p r s を超え 以下 c9 d8 e7 e8 f7 g6 h5 h6 h7 h8 js6 js7 k6 m6 n6 p6 p7 r6 s6 - 3 -60 -85 -20 -34 -14 -24 -14 -28 -6 -16 -2 -8 0 -4 0 -6 0 -10 0 -14 ±3 ±5 +6 0 +8 +2 +10 +4 +12 +6 +16 +6 +16 +10 +20 +14 3 6 -70 -100 -30 -48 -20 -32 -20 -38 -10 -22 -4 -12 0 -5 0 -8 0 -12 0 -18 ±4 ±6 +9 +1 +12 +4 +16 +8 +20 +12 +24 +12 +23 +15 +27 +19 6 10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