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벤터실기
- 3D프린터
- 기계설계산업기사실기
- TPC메카트로닉스
- 기계설계산업기사
- 메카피젯
- 메카피아
- 끼워맞춤
- 3d설계
- CAD
- 퓨전360
- 3d
- 인벤터
- 기계제도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피젯스피너
- KS규격
- 기계설계
- 3D프린팅
- 전산응용기계제도
- 일반기계기사실기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실기
- MECHAPIA
- 오토캐드
- 3d모델링
- 3D 렌더링
- 솔리드웍스
- 오토데스크
- TPC
- fusion360
- Today
- 829
- Total
- 2,127,596
목록기계제도 (16)
메카피아 노구라닷컴
2019년 제1회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 실기시험이 시작됩니다.필기에 합격하신 분들께서는 4월 13~26일 전국 고사장에서 실시되는 작업형 실기시험 대비 준비들을 하고 계실텐데요. 값은 좀 들지만 유료 인강을 신청하시어 듣는 분들도 계시고, 독학으로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오프라인 학원을 이용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이번에 도서출판 메카피아에서 발행한 전산응용기계설계제도(CAD) 2D도면작업과 3D형상모델링 작업 실기실무 도면집을 구매하시면 기본적으로 출제 경향이 높은 5가지 과제 조립도에 대한 인벤터 2019 따라하기 무료 동영상 강의가 지원이 됩니다.사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실기나 일반기계기사실기는 작업형 과제가 유사합니다.또한 주어진 도면을 측정하여 부품도를 작도하고 3d모델링하여 질량 산출 기입하..
전산응용기계설계제도 2D 도면작업과 3D 형상 모델링 작업 실기실무 도면집이 출시되자마자 전국 각지의 직업훈련기관과 대학교 및 특성화고 등에 캐드 2D도면작업과 3차원 형상모델링을 교육하는 교육기관에 교재로 채택되며 담당 교과목을 맡고 계시는 교강사님들의 증정 요청도 쇄도하고 있습니다.이 책은 국가기술자격시험인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뿐만 아니라 기계설계산업기사실기, 일반기계기사실기 등 작업 캐드실기를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들의 독학 교재로도 좋습니다.다양한 출제 예제도면과 더불어 기계재료의 선태과 열처리 선정, 각종 기계요소의 제도법과 요목표 작성법, 표준 KS규격 등이 수록되어 있는 완성도 있는 도서입니다. 524쪽의 풀 컬러 구성과 2만원대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은 추가로 제공되는 인벤터 2019 따라하..
래크와 피니언 기어 제도 및 요목표 래크와 피니언 기어(Rack & Pinion Gear)는 두 축이 평행할 때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 또는 반대로 바꿀 때 사용하는 기계요소입니다. 피니언기어는 일반 스퍼기어와 동일하며, 래크는 사각형의 금속, 비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료에 직선상으로 무한대로 이를 만든 것으로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는데 사용한다. 아래에 래크 기어의 제도법에 대해 나타내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는 아래 메카피아의 도서입니다. [교보문고] https://bit.ly/2C4mNo5[알라딘] https://bit.ly/2SFXbmZ[YES 24] https://bit.ly/2NMdWMK[인터파크] https://bit.ly/2HerwqW ■ 랙기어에 대해서..
스퍼기어의 제도 및 요목표 작성법 전산응용기계설계제도 2D 도면작업과 3D 형상 모델링 작업 실기실무 도면집 [교보문고] https://bit.ly/2C4mNo5[알라딘] https://bit.ly/2SFXbmZ[YES 24] https://bit.ly/2NMdWMK[인터파크] https://bit.ly/2HerwqW
■ 부분 확대도 부분확대도(partial magnifying view)는 도형의 일부분이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 어렵거나 치수 기입을 하기 곤란한 경우에 그 부분만을 확대해서 그리는 것이다. 부분확대도를 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그림 E5-1 (가)처럼 확대하려는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고 • 알파벳 대문자로 확대도 구분 표시(A)를 한 다음 • (나)와 같이 다른 곳에 확대해서 그린다. • 확대도에 A(2:1)과 같은 형식으로 확대도 구분 표시와 척도를 기입한다. • 치수를 기입할 때에는 원래의 치수를 기입한다.그림 E5-1
■ 정투상도 1. 정투상도의 원리 그림 D1-1 (가)의 경우 물체로부터 나온 투상선(projecting line)은 모두 정점(station point)에 모아진다. 따라서 투상면(projection plane)이 물체로부터 멀어지면 투상도의 크기도 점점 작아진다. 정투상법에서는 (나)처럼 물체로부터 나온 투상선이 투상면에 수직이며 서로 평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투상면이 어느 위치에 있든지 투상도의 크기는 항상 일정하다. 정투상법(orthographic projection)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투상된 몇 개의 투상도를 조합하여 3차원의 물체를 2차원의 평면 위에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그림 D1-2에서 보는 것처럼 정투상법에서 가상의 투상면은 항상 물체와 평행하고, 투상선은 항상 투상면에..
■ 제1각법과 제3각법 1. 제1각법 수직으로 교차하는 2개의 가상 평면으로 하나의 공간을 4등분하였을 때, 오른쪽 위의 공간을 제1각(1st angle) 또는 1사분면(1st quadrant)이라 하며, 제1각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2각(2nd angle), 제3각(3rd angle), 제4각(4th angle)이라 한다. 제1각법(1st angle projection)은 그림 D2-1 (가)와 같이 물체를 제1각에 놓고 정투상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물체는 눈과 투상면 사이에 있게 된다. 평화면,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나)와 같이 정면도의 왼쪽에 우측면도가 놓이고, 평면도는 정면도의 아래쪽에 놓이게 된다. 2. 제3각법 제3각법(3rd angle projection..
■ 정투상도 일반 원칙 1. 정면도의 선정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방향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한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논의되었다. 캐스터(caster)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지지대(bracket, 그림 D3-1)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내는 투상도는 방향 (가)에서 투상한 것이다. 따라서 방향 (가)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고 방향 (나)에서 투상한 것을 평면도, 방향 (다)에서 투상한 것을 우측면도로 한다. 그림 D3-2 (가)의 캐스터 바퀴(wheel)처럼 둥근 물체는 방향 (B)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는 것이 좋다. 방향 (A)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게 되면 치수 기입이 어려울 때가 많다. 그림 D3-2 (나)의 부시(bush)와 같은 모양의 물체를 선반(lathe..
■ 척도 1. 척도의 종류 도면에서의 크기와 물체의 실제 크기의 비를 척도(scale)라 하며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 축척(contraction scale)은 실물보다 작게 축소해서 그리는 것이며 • 현척(full scale)은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리는 것이고 • 배척(enlarged scale)은 실물보다 크게 확대해서 그리는 것이다. 축척과 배척은 표 C2-1의 기준 값 중 하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KS B 0001 기계 제도) 척도 기준 값 축척 1:2, 1:5, 1:10, 1:20, 1:50, 1:100, 1:200 현척 1:1 배척 2 :1, 5 :1, 10 :1, 20 :1, 50 :1 2. 척도의 표시법 척도는 그림 C2-1과 같이 A : B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같은 도면에서 서로..
■ 선 1.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에는 가는 선(thin line), 굵은 선(thick line), 아주 굵은 선(extra thick line)이 있으며 그 비율은 1 : 2 : 4 로 한다. KS B 0001(기계 제도)은 0.18, 0.25, 0.35, 0.5, 0.7, 1.0mm 등 6가지 기준 값 중에서 도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는 선을 0.25mm로 할 경우 굵은 선은 0.5mm, 아주 굵은 선은 1.0mm를 사용하여야 한다. 기계 공업 분야의 도면에서는 주로 0.25mm(가는 선)와 0.5mm(굵은 선)를 사용한다. 그림 C3-1 (가)에서 가는 선(0.25), 굵은 선(0.5), 아주 굵은 선(1.0)을 서로 비교..
■ 문자 KS B 0001(기계 제도)은 도면에 사용하는 문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문자의 크기(호칭)는 문자의 높이로 나타낸다. • 문자의 크기는 2.24, 3.15, 4.5, 6.3, 9.0mm의 5 종류로 한다. 다만, 특별히 필요한 경우는 다른 치수를 사용하여도 좋다. • 한글은 고딕체(gothic)를 사용하며 바르게 쓰거나 15° 기울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아라비아 숫자(Arabic numerals)와 알파벳(alphabet)은 원칙적으로 J형 사체 또는 B형 사체를 사용한다. 사체(italic)는 오른쪽으로 15° 기울여 쓰는 것을 의미한다. • 문자의 선 굵기는 문자 높이의 1/9로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3.15mm 문자의 경우 문자의 선 굵기는 0.35..
■ 나사의 제도 축이나 구멍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을 나사(screw)라 한다. 수나사(external screw)는 축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이고, 암나사(internal screw)는 구멍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이다. 나사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거나 힘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결합용 기계요소이다. 1. 나사 각 부분의 명칭 그림 O1-1은 수나사와 암나사의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낸 것이다. • 나사산(screw thread): 수나사 또는 암나사의 표면에 돌출된 균일한 단면의 나선형 산등성이. • 산봉우리(crest): 나사산의 가장 높은 부분. • 골밑(root):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 즉 골짜기의 가장 깊은 부분. • 플랭크(..
■ 도면의 종류 1. 조립도 조립도(assembly drawing)는 제품의 전체적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 그림은 캐스터(caster)의 조립도이다. 캐스터는 쇼핑카트(shopping cart) 등 여러 가지 운반 기구의 바퀴로 사용된다. 복잡한 기계는 매우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도 하나에 모든 부품의 조립 상태를 표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조립도(partial assembly drawing)가 사용된다. 2. 부품도 부품도(part drawing)는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상세하게 그린 도면이다. 부품도는 각 부품의 모양, 크기, 표면 상태, 가공 방법 등 부품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
본서에서는 기계를 설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실기와 접목시켜 숩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특히 일선 교육기관이나 기술학원, 직업훈련원 등에서 작업형 실기 전산응용(CAD)기계설계제도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는 기능사/산업기사/기사 수험생들을 교육시키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철저한 기본 이론', '빠른 실기 적용 능력', 'KS규격의 활용능력'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또한 기계설계 및 제도의 기본원리에 부족함을 느끼는 현장 실무자들에게도 도면의 해독이나 ks규격의 활용법, 기게요소의 이해와 적용에 관한 실무 사례들을 수록하여 제조산업현장에서도 빛을 발할 수 있는 '알토란 같은 지식' 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Chapter 01 기계설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