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 공구강 고속도공구강()High Speed Tool Steel)은 고강도, 고인성, 고내마모성을 가진 대표적인 공구(툴링)용 스틸로 KS규격에서는 SKH강종으로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스'(High Speed Steel, HSS)라고도 불리는 고속도강은 텅스텐계와 몰리브덴계로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고속도강은 고탄소강에 주요 합금원소(Mn, Cr, W, Mo, V, Co 등)를 함유하고 절삭공구나 금형 제작 등에 이용하는 공구강이다. 특히 절삭공구의 재질로 고속 절삭 가공용 툴(바이트, 드릴, 탭, 리머, 밀링커터, 앤드밀, 브로우치, 호브, 랙커터, 메탈소, 메탈밴드톱 등)에 사용된다. 원래 절삭 공구용으로 개발된 재료이지만 내마모성, 인성을 필요로 하는 소성 가공용 금형(냉간 프레스형,..
드릴 지그 부시 설계 KS 규격 지그용 부시 및 그 부속품에 관한 표준 규격은 KS B 1030에 규정하고 있는데 기존에 여러가지 규격이 폐지되고, 이제 몇 가지 남지 않았는데요. 기존에 KS B ISO 04247 드릴용 지그 부시 및 부속품 관련 규격은 현재 폐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드릴 지그용 부시의 KS규격은 국가기술자격 시험을 볼 때 참고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용도이지 실제 실무 업무를 하는 경우는 KS규격 보다는 관련 표준부품을 생산판매하는 메이커의 카다로그를 참고하여 실제 설계에 적용하여 구매해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학교 교육이나 자격증 시험에서 활용하는 지그용 부시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 표준은 주로 드릴 및 리머의 안내로서 사용하는 고정 부시 및 삽입 ..
주물이란? 주조란? 주물 관련 KS금속재료 규격 주물이란? 주조란? 주조(casting)는 만들고 싶은 형태와 동일한 모양의 공동부를 가지는 틀(형)에 금속을 용융시켜 흘려 넣은 후 식히고 굳혀서 물건을 제조하는 가공법이다. 형의 종류에 따라 모래를 굳혀 만든 사형(모래형), 금속을 절삭하여 만든 금형, 수지형, 석고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형을 주형이라 부르고 주조로 만든 물건을 부물이라고 한다. 주조는 복잡하고 일반 공자기계로 제작이 어려운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고 중공부를 만들 수 있으며 크기에 제한이 없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주물은 금속을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녹여 만들고 싶은 모양과 같은 형상의 공동을 가지는 금형(주형)에 흘려 낳어 식히는 가공법..
기계구조용 합금강 강재 KS D 3867 이 표준은 열간 압연, 열간 단조 등 열간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통 다시 단조, 절삭, 냉간 인발 등의 가공과 퀜칭 템퍼링, 노멀라이징, 침탄 퀜칭 등의 열처리를 하여 주로 기계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합금강 강재(이하, 강재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종류와 기호 강재의 종류는 39종류로 하고 그 기호는 아래 표에 따른다. 종류의 기호 분류 종류의 기호 분류 종류의 기호 분류 종류의 기호 분류 SMn 420 망가니즈강 SCr 445 크로뮴강 SCM 440 크로뮴 몰리브데넘강 SNCM 420 니켈크로뮴 몰리브데넘강 SMn 433 SCM 445 SNCM 431 SMn 438 SCM 415 크로뮴몰리브데넘강 SCM 822 SNCM 439 SMn 443 ..
기계구조용 합금강 강재 KS D 3867 일반적으로 강은 탄소강과 합금강으로 부분한다. 기계구조용강 탄소강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열처리에 의해 성질을 개선시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풀림(어닐링, 소둔), 불림(노멀라이징, 소준), 담금질(퀜칭, 소입) 소려(뜨임, 템퍼링)의 열처리를 거쳐 사용), 구조용 합금강은 구조용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을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개량한 재질로서 축(SHAFT)류, 기어(GEAR)류, 너트(NUT)류 등 강인성을 필요로 하는 기계부품에 사용된다. 기계구조용합금강재 (機械構造用合金鋼, Alloy Steels for machine Structural use) 보통 사용할 때 단조, 절삭, 인발 등의 가공과 열처리를 시행하여 목표로 하는 성질을 얻어 기계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기계재료 기호의 구성 조립도를 해독하고 각 부품의 기능과 그 용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기계재료와 열처리를 선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도면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도면 우측 하단의 표제란에 부품명과 선정한 재료기호를 기입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료기호는 강재의 종류에 따라 화학성분, 기계적인 성질 및 용도로 구별하여 선정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계재료의 기호는 3부분으로 구성하여 나타내며 필요시에 4부분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1. 재료기호의 구성 예 기계구조용 탄소강(machine structural carbon steel)재의 경우 S M 45C [KS D 3752] S : Steel(강) M : Machine structural use(기계구조용) 45C : 탄소함유량(0.42~0...
오늘은 부품도면 작성시 표준 KS 기계제도법에서 표면거칠기 기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까지 산업현장에서 실무자들이 표면거칠기 기호 대신에 삼각기호로 표기하는 다듬질기호를 사용하는 기업의 사례나 일본 도면, 예전 도면 등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아래에 표시한 다듬질기호는 참고적으로 보기 바라며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만 그 경우에는 삼각기호의 수와 표면거칠기의 수열에 따른 관계는 표에 표시한 것을 참조한다. 그 외의 값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기호 위에 그 값을 별도로 기입하도록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국가기술자격 증시험에서 요구하는 사항은 다듬질기호(삼각기호)의 적용이 아니라 표면거칠기 기호(W, X, Y, Z)의 적용이므로 주의를 요한다. ● 다듬질 기호(삼각기호) 및 표면거칠기 기호..
IT 기본 공차(IT:International Toleramce) 부품(Part)의 어느 부분을 실제 측정한 치수를 실제치수라고 한다. 이 실제치수에서 허용되는 최대 치수를 최대허용치수, 최소 치수를 최소허용치수라고 부르며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와의 차이를 우리는 치수공차 또는 공차라고 부르고 있다. 부품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경우 실제 도면 상에 기입된 치수 그대로 마무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즉 10 이라는 치수가 있다고 할 때 10이라는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도 가공장비도 없다고 할 수 잇을 것이다. 10이라는 치수에 허용되는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에 근접하게 가공하고 검사하는게 맞다고 할 수 있다. 공차는 규격이 정해져 있고 치수가 커짐에 따라 공차를 크게 적용하고 동일한 구분..
E형 축용 스냅링 설계 치수 규격 적용 스냅링(SNAP RING) 또는 멈춤링이라고 하는 기계요소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E형 축용 스냅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E형 멈춤링은 일반 축용 C형 멈춤링보다 적용가능한 축의 지름이 작은 편인데 보통 적용하는 최소 축지름 d1이 1~1.4mm 부터 25~38mm까지 규격화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재질은 SM60C~SM70C, SUS304, 스프링용강에 3가 크로메이트, 파커라이징, 니켈도금 등을 판매하고 있다. E형 스냅링(E링, E형 멈춤링)은 축용 밖에 적용되지 않으며 구멍용은 따로 없다. 그 형상이 알파벳의 E와 비슷하다고 하여 E형 멈춤링이라고 부른다고 알려져 있다. 적용 축지름 d1 1~1.4, 1.4~2, 5~7, 6~8mm 의 축 지름..
연삭여유 KS B 0432 이 표준은 철강 연삭 다듬질면(원통 연삭, 내면 연삭 및 평면 연삭의 다듬질면)의 연삭 여유가 특히 지정되지 아니한 때의 연삭 여유에 대하여 규정한다. 연삭 여유 : 공작물이 소정의 치수, 모양 및 표면 거칠기에 경제적으로 다듬질 되도록, 그 앞가공에 있어서 공작물에 남겨 둔 여분의 살의 치수를 말한다. 앞가공 : 공작물을 소정의 연삭 여유를 가진 상태까지 절삭하는 작업을 말한다. 원통 연삭 여유 : 센터 지지에 의한 연삭 및 척 지지에 의한 연삭 내면 연삭 여유 : 척 지지에 의한 연삭 평면 연삭 여유 : 척 지지에 의한 연삭 및 테이블 지지에 의한 연삭 ① 앞가공 후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것 [단위 : mm] 지름 D 끝면으로 부터의 거리 16 이하 16 초과 25 이하 25..
KS 규격 : 절삭 가공의 보통 허용차 (단위 : mm) 이 규격은 선반이나 밀링 등에 의한 절삭가공의 보통 치수 공차로 정밀급, 보통급, 거친급으로 구분하고 그 치수공차는 아래 표에 의한다. 등급 치수의 구분 정밀급 (12급) 보통급 (14급) 거친급 (16급) 0.5 이상 3 이하 ± 0.05 ± 0.1 - 3 초과 6 이하 ± 0.2 6 초과 30 이하 ± 0.1 ± 0.2 ± 0.5 30 초과 120 이하 ± 0.15 ± 0.3 ± 0.8 120 초과 315 이하 ± 0.2 ± 0.5 ± 1.2 315 초과 1000 이하 ± 0.3 ± 0.8 ± 2 1000 초과 2000 이하 ± 0.5 ± 1.2 ± 3 JIS 규격 : 절삭 가공의 보통 허용차 (단위 : mm) 구분 호칭 치수 공차 Ex) 소수..
29도 사다리꼴 나사 KS B 0226 나사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보면 사각나사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가공상의 어려움이 따라 일반적으로 사다리꼴나사를 사용한다. 사다리꼴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29도인 인치계(TW계열)과 30도인 미터계(TR계열)이 있는데 나사산의 각도가 29도 인것을 TM 나사, TM SCREW라고 부른다. 미터계 나사의 경우 피치를 mm 단위로 인치계열은 1인치에 대한 나산산의 수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사다리꼴나사는 표준 규격화하여 쉽게 구매 가능한데 재질은 SM45에 사삼산화철 피막이나 저온 흑색크롬도금, 스테인리스 SUS303 재질 같은 것을 사용한다. 수동 핸들 조절용이나 미세조절용으로도 사용하는 사다리꼴나사는 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위치 이송용의 목적으로 사용하며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