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층 제조(AM)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① 제작 속도가 느리다. ② 사용가능한 소재가 제한적 ③ 조형 크기 제한적 ④ 절삭가공 대비 칩 발생이 없어 낭비되는 재료가 적다. [2] 3D 프린팅 방식 중 고체 기반형 소재를 사용하는 기술에 해당되는 것은? ① FDM ② DLP ③ SLA ④ 3DP [3] 3D 프린팅 기술 방식 중 재료압출(Material Extrusion)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① FFF ② SLA ③ SLS ④ CJP [4] 3D 프린팅 제작 방식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복잡한 형상의 구현 가능 ② 절삭가공 대비 소재 절감 ③ 구조 경량화 ④ 다품종 대량생산에 유리 [5] ( ) 파일이란 3차원 데이터를 표현하는 국제 표준 형식 중 하나로써 입체 물체의 표면 형상에..
[1] 다음 치수 보조기호 중 모따기 기호로 옳은 것은? ① ∅ ② ∆ ③ C ④ R [2] 선택한 면과 면, 선과 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주는 제약 조건은 무엇인가? ① 일치제약조건 ② 오프셋제약조건 ③ 고정컴포넌트 ④ 접촉제약조건 [3] 2D라인 없이 3D형상 제작 방법 중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을 적용하여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① 폴리곤 방식 ② AMF 방식 ③ IGES 방식 ④ CJP [4] 3D 모델을 2차원 유한요소인 삼각형들로 분할한 후 각 삼각형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근사시키면 STL 파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모서리 수를 구하는 방식은? ① 모서리수=(꼭지점×2)-6 ② 모서리수=(꼭지점×3)-6 ③ 모서리수=(꼭지점×2)-4 ④ 모서리수=(꼭지점×3)-4 [5] 원호와 선 ..
개정된 최신 KS규격에 의한 기계제도법과 기본 도면해독 실기실무 교재를 소개해드립니다. 아직도 개정 전 일본 규격에 기초한 기계제도법을 가르치고 있는 교육기관이나 기존의 교재들이 많습니다. 본 교재는 가장 최신의 KS규격을 따른 기계제도법과 ISO 규격을 따라가고 있는 KS규격을 기반으로 기계공학 필수 교육 교재입니다. 대학에서 가르치고 계시는 교수님들께는 강의교안을 별도로 제공해드리고 있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 중에 있습니다. 특히 전문대나 4년제 대학에서 도면해독과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등의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까지도 함께 가르칠 수 있어 일석이조의 교재입니다. 풍부한 도면한 실습용 출제도면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 특히나 좋습니다. 기계 분야의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 모델링과 3D프린팅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는 주어지는 도면을 분석하여 1, 2번의 부품을 모델링하고 두 개의 부품을 어셈블리한 다음 stl 파일로 변환 저장하여 실기 시험장에 있는 3D프린터 슬라이서에서 요구하는 출력조건을 설정한 다음 직접 출력(1시간 내외 정도)하여 감독관에게 제출하고 검사를 받습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부품을 어셈블리한 상태에서 요구하는 공차를 적용한 후 출력했을 때 두 개의 부품이 서로 움직여져야 한답니다. 3d프린터를 가지고 몇 번 출력해보시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사항으로 실기 시험에서 출력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며 해당 실기 시험장에 어떤 모델의 3d프린터가 있는지 확인해야겠지요~ 모델링 작업도 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