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noble metal] 금, 은과 같이 산화되기 어렵고 화학변화도 받기 어려운 희소가치를 가진 금속의 총칭. 통상 금, 은 및 백금속원소(백금, 로듐, 팔라듐,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를 가리킨다. 금은 유사 이전부터 가치의 대표자 지위가 주어져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그 이유는 희소하다는 것,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는 것, 화학변화를 받기 어렵다는 것, 재가공하기 쉽다는 등에 기인하고 있다. 결정형은 면심입방구조로 부드럽고 비중 19.3, 녹는점은 1063℃이다. 금은 산소, 유황 등에 대해 매우 내식성이 좋고 대략의 산에는 침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수(진한염산과 진한질산을 3∶1의 용적비로 혼합한 것)에는 녹는다. 연성, 전성(☞전연성)이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크고 얇은 박(箔)에 가공하기..
공구강[tool steel]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가공,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드릴, 바이트, 커터, 톱, 줄, 와이어드로잉다이스, 금형 등의 공구나 치구 등에 사용되는 특수강. 강의 종류로부터 탄소공구강, 합금공구강, 고속도강(고속도공구강)으로 대별된다. 탄소공구강은 공구강 중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고 0.60~1.50mass%의 탄소를 포함하며 다른 합금첨가량은 적다. JIS에서는 SK1강에서 SK7강까지의 8종이 규정되어 있고, 숫자가 적을수록 탄소량이 많다. 탄소량이 많은 것은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절삭공구, 줄 등에 쓰이고, 탄소량이 적은 것은 인성이 요구되는 끌, 각인 등에 사용된다. 합금공구강은 탄소공구강에 총량 약2~15mass%인 Ni, Cr, W, Mo, V를 소량씩 첨가한 것이다..
강판[steel plate] 철강 소형재의 중심적 제품, 강판은 철강제품의 주요부분에 가공, 성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후판은 전투함의 장갑판, 압력용기의 외판, 함선, 선박의 외판에 사용되고 있다. 성질로서 중요시되어야 할 것은 인성(靭性)이다. 대용적의 용접 일체구조물로서 건조되기 때문에 파괴에 대한 해방에너지가 팽대한데, 그것을 위해서는 잠재균열이 되는 결함을 없에는 것이나 균열의 전파저항이 충분히 높은 성질의 조직으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반의 강재는 온도가 저하하면 파괴양식이 연성파단에서 취성파괴로 전이하여 인성이 격감하는 현상이 있어, 이 온도가 조직․성분 등의 상태에 따라 실온 부근에서 200K 정도까지 변화한다. 용접공법으로 제조된 선박이 한냉시 항구에 정박중 대소음을 내고 파괴..
가공야금[mechanical metallurgy] 야금 중에서 재료의 형태를 갖추고 성질을 조제하는 분야. 주조기술․소성가공기술․열처리기술이 포함된다. "인격도야(人格陶冶)"의 야(冶)에 나타난 대로 제품의 마무리 단계인 기술을 가공야금이라고 한다. 가공열처리[thermo-mechanica treatment] 소성가공과 열처리를 조합시켜서 재료의 강도, 인성을 향상시키는 처리의 총칭. 종래의 열처리가 온도-시간의 2차원인 것에 대해, 온도-시간-변형인 3차원의 조합으로 3D열처리라고도 불리운다. 어느 것이나 약간의 변태가 관여하고 있다. 가공을 가하는 시기에 따라 ①변태전, ②변태중, ③변태후의 3종으로 나누어지고, 또 관여하는 변태의 종류에 따라 마르텐사이트변태 및 확산변태의 2종으로 나누어진다. 강(..
3D프린터운용기능사 필기 2019년 10월 시행 CBT 복원 시험문제입니다. 이번 문제의 정답은 공부해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모두 새해들어 뜻하는 모든 일 이루시고 국가기술 자격증도 취득하시길 메카피아에서 기원합니다~ [01] PLA 필라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농작물을 원료로 하여 제작한다. ② 융점이 약 180~230° C 정도이다. ③ 열수축현상이 ABS 대비 적은 편이라 비교적 큰 사이즈 출력물에 적합하다. ④ ABS 필라멘트 출력물 대비 표면처리 및 후가공이 쉽다. [02] ABS나 PLA보다 강도가 높지만 원래 옷을 만들 때도 쓰이는 재료로서 충격 내구성이 강하고 특유의 유연성과 질긴 소재의 특징 때문에 휴대폰 케이스나 의류, 신발 등을 출력하는데 유용한 소재는? ① 나일론 ②..
[1] 3D 프린팅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개인 맞춤형 제품 제작 ② 복잡한 형상 제작에 효과적 ③ 다품종 소량생산 ④ 무기제작이나 불법 복제품 제작 [2] 적층 제조(AM)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① 제작속도가 느리다. ② 사용가능한 소재가 제한적 ③ 조형 크기 제한적 ④ 절삭가공 대비 칩 발생이 없어 낭비되는 재료가 적다. [3] 3D 프린팅 방식 중 고체 기반형 소재를 사용하는 기술에 해당되는 것은? ① FDM=FFF(RepRap) ② DLP=광원, 빔프로젝트,액체(광경화성수지, 포토폴리머) ③ SLA광원레이저 ④ 3DP=분말(파우더)석고(CJP), 플라스틱 분말 등 [4] 3D 프린팅 기술 방식 중 재료압출(Material Extrusion)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① FDM(Fused De..
파워실린더는 기존의 공압이나 유압실린더와 다르게 모터만으로 구동하는 친환경 스마트 실린더입니다. 심플한 전기 배선만으로 사용 가능한 전동 실린더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곳에 사용하는데 취급이 간단하고 유공압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됩니다. 구동 원리는 모터에서 회전 토크를 발생시킨 후 감속기어를 통해 힘을 크게 한 후에 보통 볼스크류나 TM스크류로로 직선운동을 시켜 피스톤(PISTON)을 밀어 작동시키는 방식이랍니다. 1.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한 전기 제어 조작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함 2. 유압실린더 사용시 발생하는 누유 걱정이 없으며 작동시 소음이 적고 친환경적임 3. 구동 모터를 사용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하여 활용 가능(AC/DC, SERVO, 스테핑, BLDC 모터 등) 4. ..